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그럼 왜 파업을 할까, 화물연대는 줄곧 안전운임제를 적용해달라 주장해왔습니다.<br> <br> 안전운임제 화물차 사고를 막으려면 운전자 과로부터 해결해라, 일종의 ‘최저임금’같은 제도인데요. <br> <br> 앞서보신 탱크로리나 사료 트럭처럼 더 많은 업종에 영구적으로 적용해 달라는 거고요.<br><br> 일단 지금 안대로 3년 더 운영해보자, 이게 정부 입장입니다. <br> <br> 국회에서 논의가 공회전하는 새 민노총은 실력행사에 나선 상황인데 정부도 물러설 생각없습니다. <br> <br> 대통령실 내부에서 손해배상도 청구하잔 얘기가 나옵니다. <br> <br> 조영민 기자가 단독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대통령실이 화물연대 파업 피해에 대한 손해배상 청구 방안 검토에 들어갔습니다.<br><br>여권 관계자는 "정부가 발주한 사업들을 중심으로 피해 규모를 확인하는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손해배상 청구 대상 사업은 우선 정부나 공공기관이 발주한 사업입니다.<br><br>파업으로 사업 일정이 지연된 경우 시행사 등에게 일정 지연에 대한 지체상금을 물게 하고, 시행사가 화물연대에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방식이 거론됩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은 불법파업에 대한 강경 대응 기조를 재차 밝혔습니다. <br> <br>[이재명 / 대통령실 부대변인] <br>"집단의 힘으로 민생과 국민 경제를 직접적으로 위협하는 것에 대해 정부는 국민의 안전과 편익 그리고 국민의 편에서 대응할 수밖에 없다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합니다." <br> <br>윤석열 대통령도 그동안 원칙 대응을 강조해왔습니다.<br><br>[출근길 문답 (지난 6월)] <br>"사용자의 부당노동 행위든, 노동자의 불법행위든 간에 다 선거 운동할 때부터 법에 따라서 원칙에 따라 대응하겠다고 계속 천명했습니다." <br> <br>국토교통부와 화물연대는 내일 첫 만남을 갖는데 상대방의 요구 사항을 듣는 자리가 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은 화물연대에 대한 업무개시명령 발동 여부에 대해 실무 차원에서 다양한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고 말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조영민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한규성 조승현 <br>영상편집 : 김태균<br /><br /><br />조영민 기자 ym@ichannela.com